흥미 끌어내고 싶다면 이렇게 말해보세요 "너 90%는 맞았네" (매일경제)
"내 부하들은 도통 흥미가 없습니다. 어떻게 하면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까요?" 흥미 유발에 관한 질문은 가장 많이 들으면서도 동료 심리학자들조차도 `대답하기 가장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대부분 이야기한다. 인지 심리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필자 역시 늘 고민이 되는 질문이다. 논문을 읽어보고 사람들을 관찰도 해 보면서 언젠가부터 필자의 대답은 이렇다.
"90%는 맞았다"고 말해 주는 것이다. 무슨 뜻일까? 우리 인간은 꽤 많은 경우 자신이 무언가에 어떤 감정이나 생각을 가지게 된 이후 그 이유를 물으면 실제로는 그 이유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흥미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이 어떤 일이나 공부에 흥미를 가지고 몰입하고 있을 때 "당신은 그 일에 왜 이렇게 흥미를 가지십니까"라고 물으면 실제로 사람들은 `중요해서` `돈이 되니까` 혹은 `재미있어서`라고 말한다. 하지만 앞서 열거한 이유가 정말 흥미의 진짜 이유였을까? 실제로는 `내가 흥미를 가진 이유를 사후에 추리해 낸 결과`에 더 가깝다.
흥미는 색으로 치자면 혼색에 가깝다. 그래서 미묘한 느낌인 것이다. 슬픔, 분노, 기쁨, 쾌감 등은 원색에 가깝다. 그래서 분명하다. 재미있는 것은 원색과도 같은 이런 기본 감정을 만들어 내는 원인이나 이유가 명확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흥미, 설렘, 꺼림칙함, 심지어 수상하게 미소 짓고 흡족함을 나타내는 `므흣함`과 같은 감정은 미묘하기에 그 원인과 과정이 분명하지가 않은 것이다. 흥미의 정의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정의는 구체적이며 명확해야 한다. 하지만 흥미라는 단어처럼 그 정의조차 여전히 추상적인 게 많다. `어떤 대상에 마음이 끌린다는 감정을 수반하는 관심`이라고 정의하니 말이다. 하지만 조금 더 들여다보면 중요한 단서가 나온다. `마음을 끄는 관심`. 도대체 우리는 왜 마음을 끄는 관심을 가지게 될까? 이를 분석해 보면 흥미 유발의 방법에 실마리가 보인다.
첫 번째는 아직 완료·완성되지 않았을 경우다. 우리는 좋든 싫든 완료돼 결론이 나면 더 이상 생각할 필요가 없다. 아직 손님 테이블 위에 올려놓지 않은 주문 메뉴는 완벽히 기억하면서 일단 손님 앞에 가져다놓고 나면 어떤 메뉴를 주문했는지 조금도 기억하지 못하는 웨이터에서 유래된 그 유명한 `자이가르닉 효과`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는 마음을 쓰는 메커니즘만 설명한다. 관심은 좀 더 긍정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두 번째 요소가 있다. `당신은 틀리거나 망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 피드백이 바로 그것이다. 그래야 사람들은 더욱 그 생각에 다가가고파 한다. 수많은 학생과 직장인이 점수나 성과지표가 잘 나오는 과목, 업무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하는 것을 우리는 너무나도 잘 알고 있지 않은가?
그러니 흥미는 두 요소가 결합돼 발생하는 매우 미묘한 혼색과도 같은 느낌이다. `당신이 잘하고 있는 무언가가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어떤 질문이든 사람들에게 던지고 난 뒤 그 대답을 듣고 "90%는 맞았습니다"고 말한다. 그러면 나머지 10%를 더 알아내 완성하고자 하는 이른바 `긍정적 관심`인 흥미를 사람들이 느끼는 것이다. 그래서 흥미는 한 번에 느끼거나 완성되는 만병통치약도 아니며 한 번에 흥미를 갖게 하는 방법 역시 없다. `90%는 맞았다`고 하면 10%를 채우기 위해 사람들은 더 관심을 가지게 마련이다. 굳이 한마디 첨언드리자면, `90%가 아니라 10%만 맞는 대답을 하면 어떻게 하란 말입니까`라고 항변하지 마시라. 상대방으로 하여금 90% 혹은 적어도 80%는 맞는 대답을 할 수 있도록 개인 맞춤형 질문을 생각해내지 못한 질문자에게 정작 문제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출처 : [CEO 심리학] 흥미 끌어내고 싶다면 이렇게 말해보세요 "너 90%는 맞았네" (매일경제)
※ 링크 :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8/01/59112/
'경영경제학 (MBA,학술,학문) > 경영인사이트 (Management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인사이트#018] 좋은 리더에게 필요한 5가지 덕목 (벤처스퀘어) (0) | 2020.04.23 |
---|---|
[경영인사이트#017] 혁신 리더십, 그 닮음과 다름 (한국일보) (0) | 2020.04.23 |
[경영인사이트#015] 나만의 은신처가 필요해 '케렌시아' 트렌드 열풍 (중앙일보) (0) | 2020.04.22 |
[경영인사이트#014] 리더의 자만심 (미래한국) (0) | 2020.04.21 |
[경영인사이트#013] 숫자·지표에 얽매인 평가, 무위도식형 승진자 키워 (매일경제) (0) | 2020.04.21 |